본문 바로가기
인생치트키 ver.1

퇴사 통보 기간 한 달 전에 미리 말해요

by shimz 2021. 6. 17.
728x90
반응형

 

퇴사 통보 기간 한 달 전에 미리 말해요

 

몇 달 전부터 퇴사 각을 잡고 있는데요. 퇴사

통보 기간은 언제가 적당한지 궁금하더라고요. 

한 달 전이라고 듣기는 했는데 한 달 동안 보

고싶지 않은 얼굴들을 봐야 한다니 끔찍한데요.

 

그래서 오늘은 퇴사 통보 기간에 대해 알아보

도록하겠습니다.

 

 

퇴사란?

 

source by google

 

퇴사(退社)란 한자로 뜻을 풀이하면 회사를 그만두고 물러남이라고 나오는데요. 간단하게 말해 지금 회사에 다니고 싶지 않아 그만두는 것을 말합니다. 또 다른 말로 사직이라고 말하기도 한답니다.

 

퇴사 통보 기간

 

회사를 그만두고 싶은데 퇴사 통보 기간이 고민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 달 전에 해야 한다고들 합니다.. 사실 이를 지키지 않는다고 법적으로 처벌되지 않지만 일반적인 퇴사 통보 기간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하지만 퇴사 통보 다음날부터 출근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민법 660조 2항 '1개월이 경과하면 해지의 효력이 생긴다'라는 부분은 반대로 말하면 1개월이 될 때까지는 회사가 합법적으로 퇴사를 늦출 수가 있다는 말이 되기도합니다. 이렇게 되면 퇴직금 그리고 더 나아가 무단 퇴사로 인해 회사에 금전적이 손해가 발생했다는 것이 증명되면 법적인 처벌도 받을 수 있습니다.

 

 

퇴사 통보 방법

 

퇴사 통보 방법으로는 한 달 전쯤에 구두로 말씀드리고 해당 내용을 이메일로도 동시에 보내는 것이 가장 합당한 절차랍니다. 대부분의 회사가 사규에 근로자의 퇴사 통보를 퇴사 한 달 전으로 규정한 곳도 많아서 이를 따르면 큰 무리가 없을 거예요. 간혹 회사의 특수 상황을 이유로 한 달 보다 더 길게 통보해 줄 것을 요청하는 경우 관련 상위법에 위배되기 때문에 이런 사규를 가진 회사는 거의 없거나 있다 하더라도 실효성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퇴사 날짜는 퇴직금과 연차 수당의 지급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는 만큼 퇴사 통보를 구두로 말한 후이 메일도 동시에 보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진퇴사 실업급여 조건

 

① 연장근로 등을 많이 하여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근로환경 사업장

② 피할 수 없는 사유로 출퇴근이 힘들어진 경우인데 거주 이전으로 출퇴근 시간이 너무 길어진 경우 비자발적 퇴사라도 실업급여 가능합니다.

③ 배우자, 부양가족과의 동거를 위한 거주 이전의 경우도 비자발적 퇴사라고 하더라도 실업급여가 가능합니다.

④ 임신, 출산, 육아, 병역의무 등으로 불가피하게 휴가, 휴직을 해야 하는데 무조건은 아니지만 사업장이 휴가나 휴직 등을 줄 수 없는 사정이 있을 경우입니다.

⑤ 질병이나 부상 등으로 인한 치료로 간호를 해주어야 하는 경우입니다.

⑥ 채용 시 제시된 조건보다 채용 후의 근로조건이 낮아지게 된 경우입니다.

⑦ 사업장이 휴업을 하는 경우 평균임금의 70%를 주어야 하는데 휴업 전 평균임금의 70% 미만을 받는 경우입니다.

⑧ 임금체불이 1년 내 두 번 있었다면 자발적 퇴사자라 하더라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밑에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실업급여 - 지급조건, 지급액, 지급절차를 알아보자

여러 사정으로 회사를 그만두게 되었을 때, 근로자를 보호하는 정부 정책 중 하나가 바로 ‘실업급여’ 입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불황을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분들도 많아졌을 텐데요, 이전

www.jobkorea.co.kr

 

아름다운 이별

 

source by google

 

퇴사 통보 기간을 검색해서 오신 분들이라면 이미 회사에 대한 애정이 식었거나 떠나고 싶은 마음들이 간절하실 텐데요. 위에서도 말씀드렸지만 퇴사 통보를 한 달 전에 하지 않는다고 법적으로 처벌받거나 하는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도의적인 책임이란 게 있으니 자신에 업무에 대한 인수인계를 철저히 하시고 나오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 직장을 나가더라도 비슷한 업종에서 일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나의 평판을 위해서라도 원만한 합의를 통해 퇴사 날짜를 잡는 것이 좋은 것 같네요.

 

반응형

댓글